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Notepad

리눅스 설치 4- rhel8.6 로컬 저장소 설정 본문

Linux/설치

리눅스 설치 4- rhel8.6 로컬 저장소 설정

매우파랑 2023. 6. 28. 23:09
728x90

보통 Linux 설치 환경이 외부 네트워크가 안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패키지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먼저 OS 설치한 ISO 파일이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VMware 설정에서 빨간색 상자의 Connected 가 체크되어 있어야 합니다.

 

/mnt 디렉터리에 cdrom 디렉터리를 만들어서 /dev/cdrom 을 마운트 하였습니다.

 

/mnt/cdrom 내용을 /srv 디렉터리에 복사하였고,

/srv/cdrom 디렉터리 이름을 /srv/repo 로 변경하였습니다.

 

yum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파일을 만들어 설정하겠습니다.

vi /etc/yum.repos.d/redhat.repo

 

위 설정 내용 중 baseurl=file://절대경로 를 설정해 주시면 되고

BaseOS, AppStream 의 대소문자 구분하여 입력은 필수입니다.

※파일 이름은 redhat.repo 또는 locale.repo 등으로 만들어도 됩니다.

 

yum -y install net-tools 명령어를 실행하여 로컬 저장소 설정이 잘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혹시 오류가 나오면 

vi /etc/yum.repos.d/redhat.repo 파일의 설정에 오타를 확인하세요.

 

이상 없이 설치가 된다면 로컬 저장소 설치가 잘 되었습니다.

 

이제 당신은 내부망 또는 외부 인터넷 없이 기본적으로 Linux 설치가 가능한 기술자가 되었습니다.

 

VMware에서 ISO 마운트한 상태에서 설정해도 되는데

개인적으로 가능하면 파일 복사를 추천합니다.

 

다음 페이지에서 나머지 설정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