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Notepad

고정IP 환경 만들기(공유기 설정) 본문

IT 기타

고정IP 환경 만들기(공유기 설정)

매우파랑 2023. 7. 8. 18:08
728x90

준비물 : 추가 설치할 공유기 1개, 랜선 1개(컴퓨터에서 설치할 공유까지 길이 필요)

 

리눅스 처음 공부하면서 아쉬운 부분이 고정 IP 환경입니다.

집에서 유선공유기 구매해서 만드는 방법이 가장 편한 방법 같아서 공유합니다.

 

보통 집에서 인터넷 환경은 아래 그림과 비슷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유무선 공유기는 대부분 인터넷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하기 때문에

집에서 컴퓨터와 휴대폰에서 인터넷을 쉽게 이용가능합니다.

Home Network1

 

기존에 유무선 공유기를 설정해도 되는데 가족과 함께 거주하시면 겁나 번거롭기 때문에

당근이나 온라인 사이트에서 저렴한 공유기 하나 구매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 외 여려가지 이유가 있지만, 정신건강에 매우 좋습니다.

 

집에서 가족과 함께 거주하시면 아래와 같이 구성을 추천합니다.

추가 공유기의 인터넷 랜선 결합은 어려움이 없으니 연결만 하시면 됩니다.

 

공유기 설정 환경 : ipTIME v504 기준

 

1. IP 확인

윈도우 화면 왼쪽 아래 돋보기 모양 키 눌러서 [명령프롬프트] 찾아서 실행하는 방법,

 

또는 키보드 왼쪽 아래 윈도우키 + r 키 눌러서 실행창 띄운 상태에 [cmd] 입력하여 실행하는 방법으로

 

윈도 명령 프롬프트 창을 실행하여 ipconfig 명령어로 ip 환경을 확인합니다.

ip 환경이 확인되면 기본 게이트웨이로 브라우저 접속을 해보겠습니다.

※ 보통 특별한 경우 아니면 네트워크 환경의 게이트웨이가 공유기 접속 IP입니다.

 

2. 웹브라우저 공유기 접속

웹브라우저 인터넷 주소에 내용 전부 지우고 10.10.34.254 또는 http://10.10.34.254 아니면 https://10.10.34.254

으로 공유기에 접속을 시도합니다.

※ 웹브라우저는 엣지를 추천합니다.(그럴 일은 없지만 혹시라도 크롬이라고 접속 안될 수 있습니다. ㅡㅡ;)

공유기 웹 접속 화면

3. 공유기 로그인

로그인 내용 입력하여 공유기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동적 IP - 연결됨 = 192.168.200.164]라는 내용이 보이는데

기존 사용하는 공유기와 새로 설치한 공유기가 잘 연결된 내용입니다.

4. 공유기 관리도구 [ 고급 설정 → 네트워크 관리 → DHCP 서버 설정]

DHCP 설정을 중지할 예정입니다. IP 자동 분배를 막아 범위 안에서 원하는 IP 설정을 하기 위한 환경입니다.

설정하고 적용 눌러주셔야 합니다.

공유기 DHCP 설정

 

4. 공유기 관리도구 [ 고급 설정 → 네트워크 관리 → 내부 네트워크 설정]

혹시 네트워크 이론이 없으시면 그림과 동일한 대역 세팅을 추천합니다.

내부 IP주소 : 10.10.34.254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0        // 10.10.34.x 대역 IP 사용하는데 10.10.34.254는 공유기 IP로 사용한다는 내용

적용 눌러주셔야 합니다.

공유기 내부 네트워크 설정

5. OS 네트워크 설정 변경

정상 설정 되었다면 이제 더 이상 공유기에 접속이 안됩니다.

네트워크 환경을 수정하여 설정 확인을 진행하겠습니다.

네트워크 환경 설정 옵션 찾는 방법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 여기서는 [파일 탐색기]에서 찾아가겠습니다.

파일 탐색기의 네트워크 속성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에서 [어댑터 설정 변경] 클릭

어댑터 설정 변경

[네트워크 연결] 설정에서 [이더넷] 속성 클릭

이더넷 속성

[이더넷 속성]의 IP 설정을 하기 위해 아래 그림의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를 더블클릭하세요.

이더넷 속성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 설정을 아래 그림과 같이 설정하여 확인을 클릭하세요.

IP 주소(I) : 공유기에서 설정한 10.10.34.xxx 대역 중 사용 안 하는 IP 사용

서브넷 마스크(U) : 공유기에서 설정한 255.255.255.0 적용

기본 게이트웨이(D) : 설정한 공유기 IP

DNS 설정은 취향 것 추천합니다. 개인적으로 구글 DNS(8.8.8.8, 8.8.4.4) 좋아합니다.

여기까지 설정이 잘 되었다면, 인터넷 사용이 가능합니다.

 

VMware에서 리눅스 연습할 때 NAT 모드 없이 설정한 IP 범위에서 네트워크 설정하시면

고정 IP처럼 사용이 가능하여 외부 인터넷 연결된 상태에서 학습 가능한 범위가 넓어질 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집에서 추가 공유기 사용이 어려우면 VMware에서 리눅스로 고정 IP 환경 만드는 방법

올려보겠습니다.

 

 

공부하시는 분들 전부 잘 되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혹시 틀린 내용 있으면 글 남겨 주세요.

728x90